다가오는 2025년 창업시장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고, 자영업자들 간에서도 극단적인 빈부격차가 생길 것이다.
코로나 팬데믹 이후, 프랜차이즈발 자영업자들이 급격하게 늘었고, 프랜차이즈의 높은 물류수익을 기반으로 한 허황된 매출과 배달과 플랫폼 중심의 수수료 구조가 고착화되었고 높은 인건비와 임대료 또한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대폭 늘려왔다. 그 속에서 앞으로 자영업에 뛰어든 초보창업자들은 과거의 성공 공식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생존전략을 모색해야 한다.
이번 칼럼에서는 필자가제안하는 파전에 막걸리집 이론을 기반으로 한 창업 트렌드를 소개하며, 대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례와 함께 생존전략을 가늠해 보기로 한다.
▶파전의 막걸리집 이론: 초보창업자들의 현실적인 창업 모델
파전의 막걸리집의 이론이란, 장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기반으로 한 창업전략으로서, 이 이론의 핵심은 “원가가 낮고, 1명의 인건비, 대중적인 메뉴이지만 원물 수급이 문제가 없고, 경쟁자가 적게 운영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것”이 핵심이다.
파전과 막걸리는 그 대표적인 예시다. 파와 부침가루로 만든 파전은 원가가 낮아 마진이 높고, 대중적인 메뉴로 누구나 쉽게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아이템이다. 더 중요한 것은 파와 막걸리를 공급하는 건 프랜차이즈로서는 수익이 없기에 브랜드를 만들지 않는다.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 같은 거대한 경쟁자를 만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초보창업자에겐 큰 장점이 된다.
특히, 저녁 장사에 집중하기 때문에 영업시간도 짧고, 주류와 함께 파는 전략은 노동강도도 낮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. 하루 7~8팀만 채워도 하루 40만 원~50만 원을 팔고 한 달에 1,500만 원의 매출도 기록할 수 있으며, 낮은 매출임에도 원가가 낮고 인건비가 낮아서 700만 원 이상의 순익도 가능하다.
-이하생략-
출처 : 창업지원센터(http://www.rg4u.co.kr)/25.1.20수정, 2025.1.20접속
https://www.rg4u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7576